| 연구개발 조직 보유 |
연구개발을 전담하고 있는 인력 및 전담조직 보유 수준
1. 연구개발에 대한 의지가 없음
2. 자체적 연구개발은 불가능하지만 타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수행
3. 연구개발 전담 담당자 및 연구개발을 위한 별도의 담당조직이 존재함
4. 연구개발을 위한 기업부설 연구소가 있음
(가점 0.5점) 지적재산권으로 인한 로얄티 수익 발생 실적이 있음
- 연구개발을 전담하고 있는 인력 및 전담조직 보유 수준
- 기업 조직도
- 기업부설연구소 등록증
- 타업체와 연구개발 협력 증빙
|
| 지적재산권 보유 |
신제품 개발의 기반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등록 현황 조사
1. 0건
2. 1 – 2건
3. 3 – 4건
4. 5 – 6건
5. 7건 이상
- 신제품/서비스 개발의 기반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출원/등록 현황 조사
- 지적재산권 등록 증거 자료(특허증, 상표등록증, 실용신안등록증, 디자인등록증 등)
- 출원은 인정 안됨
|
| 해외 거점 구축 수준 |
수출 대상 국가의 해외 거점 구축 수준
1. 해외 거점이 구축되지 않았으며 국내 수출 대행업체를 이용함
2. 수출이 수출국 현지 에이전트(영업대리인)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3. 수출 BI(Business Incubator)와 같은 정부 및 국내기관의 현지 거점을 활용
4. 현지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수출업무를 수행함
5. 수출업무를 총괄할 수 있는 현지지사 및 법인이 있음
- 수출 목표 국가에 대한 해외 거점 구축 수준
- 수출업무를 대행하는 에이전트의 활용을 증빙할 자료(내부 보고자료, 예결산 내역서, 기타)
- 정부 및 국내기관의 현지 거점 활용을 증빙할 자료
- 현지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증빙할 자료
-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현지지사 및 현지법인을 증빙할 자료
|
| 잠재고객 발굴 활동 |
글로벌 고객의 잠재적 수요 발굴을 위한 활동(최근 3년간)
재고객 발굴을 위한 시장조사 및 계획 실시
광고 및 홍보 채널의 다양화(새로운 홍보채널 마련)
유통 채널 다양화를 통한 신규 매출 발생
잠재고객 발굴 활동을 위한 전문인력을 보유함
신규 거래처 발굴 실적이 있음
잠재고객을 위한 새로운 가격정책을 수립함
- 글로벌 고객의 잠재적 수요 발굴을 위한 활동
- 잠재고객 발굴을 위한 마케팅 전략 보고서
- 해외홍보채널, 유통 채널 다양화, 신규 거래처 개척 실적 자료
- 구글, 이베이, 아마존, 타오바오, 티몰, 큐텐, 라쿠텐, 고비즈코리아,
바이코리아, 트레이드코리아, 케이몰24, 알리바바 등
- 외국어 홈페이지, 외국어 카다로그, 외국어 동영상, 기타 수출용 홍보물
|
| 수출대상국 다변화활동 |
수출대상국의 다변화를 위한 노력 정도(최근 3년간)
1. 현재 지역 이외의 추가 시장 개척에 대한 계획이 없음
2. 수출대상국 다변화를 위한 추상적인 계획이 존재함
3. 수출대상국 다변화를 위해 구체적 계획 수립과 예산 편성이 되어 있음
4. 수출대상국 다변화를 위한 활동이 있으며 관련된 예산집행 사례 존재
5. 수출대상국 다변화를 통해 1개 이상 신 시장을 개척하고 수출이 발생
- 수출대상국의 다변화를 위한 노력 정도
- 수출대상국 다변화를 위한 기업의 계획 및 예산 집행 자료
(내부 보고 자료, 회의록, 보고서, 예결산 내역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