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2-1 해외진출 관련 조사및분석 |
시장조사 수행역량 |
해외시장(고객) 발굴을 위한 정보 수집 활동 수준
개인적 인맥 혹은 문헌자료를 통한 시장조사
온라인을 통해 시장조사 후 바이어를 발굴하는 수준
자체적인 현지방문을 통해서 시장 조사 및 바이어 발굴 활동 실시
외부 전문가를 통한 전문적 수준의 시장조사 실시
- 해외시장(고객) 발굴을 위한 정보 수집 활동 수준 관련 질문 및 관련 자료 검토
- 해외마케팅 계획서 및 실적 보고서(보고서)
- 자체 혹은 기관(코트라, 무역협회 등) 해외시장조사 자료
- 바이어 발굴 활동관련 실적 자료(내부 보고 자료, 회의록, 보고서, 예결산내역서)
|
시장정보 보유수준 |
조사내용적 측면의 적절성
시장 및 소비자 동향과 관련된 조사 실시
해당 수출국의 정부 정책 및 이슈 관련 조사 실시
경쟁사의 동향과 관련된 조사 실시
제품과 관련된 기술 관련 조사 실시
해당국에 수출을 위한 유통 관련 조사 실시
- 시장조사 내용의 충실성, 적절성 수준
- 해외 마케팅 계획서 및 마케팅 실적 관련 자료
- 시장 조사 결과보고서(보고서)
|
조사결과 활용 역량 |
조사된 내용의 효과적 활용과 관련된 수준
1. 시장조사 미실시
2. 시장조사가 이루어졌으나 관련된 수출전략이 부재함
3. 시장조사를 통한 수출전략을 마련하였으나 구성원과 공유가 안 됨
4. 시장조사를 통해 수출전략을 수립하고 보고서화 하여 구성원과 공유
(가점 2.5점)시장조사 내용이 구체적(수출국의 해당산업 최신정보)인 경우
- 조사된 내용의 효과적 활용과 관련된 수준
- 해외마케팅(수출전략) 보고서 혹은 시장조사 결과보고서(내부 보고서, 보고서)
- 수출전략수립 후 구성원과 공유한 증빙 자료
- 해외마케팅 전략, 수출 및 매출 계획, 중장기 전략 등
|
Step 2-2 수출전략수립 |
체계적 수립 수준 |
수출전략 수립을 위한 전사적 목표 수립 및 관리 수준
1. 수출전략이 없음
2. 정량적 수치(목표 수출액)를 기준으로 한 목표만을 수립하고 있음
3. 부서별 수출 전략의 연도별 목표와 실행과제가 수립되어 있음
4. 부서별 수출 전략의 연도별 목표/과제를 위한 관리지표(KPI)가 설정됨
5. 부서별로 설정된 관리지표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춤
- 수출전략 수립을 위한 전사적 목표 수립 및 관리 수준
- 수출목표 수립 실행 여부
- 회사 경영전략 보고서(보고서)
- 부서 경영전략 보고서(내부 보고자료, 보고서)
|
전략수립의 적절성 |
수출전략 수립 내용의 타당성
글로벌 시장진입전략(라이선싱, 해외직접투자, 전략적 제휴 등)과 관련된 전략이
수립되어 있음
중국 시장의 규모 및 성장성이 목표시장 설정에 반영되어 있음
전략수립을 위한 마케팅 기법(STP, 4P, 3C 등)을 적절히 활용함
기업 내부 자원(예산, 인력, 시설 등)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였음
수출 대상국에 따른 국제무역협약(FTA, NAFTA, GATT등) 준수를 위한 대응 전략 수립
- 수출전략 수립 내용의 타당성
- 수출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전시회, 시장개척단 참가, 온라인 마케팅 계획 등)
- 경영전략 보고서(보고서, 예결산 내역서)
- 해외 마케팅 추진 전략 보고서 등
|
전략의 실행가능성 |
수출전략수립의 (SMART* 관점) 실행가능성 수준
수출전략의 세부실행계획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음
수출전략의 전략 목표가 과거 추세를 반영하여 달성 가능한 수준임
수출전략목표를 경영진이 설명할 수 있으며 구성원들에게 공유됨
수출전략수립과 관련하여 예산 및 인력이 적절하게 편성되어 있음
수출전략이 단기적인 것부터 장기적 목표까지 모두 수립되어 있음
- 수출전략 수립 내용의 타당성
- 수출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전시회, 시장개척단 참가, 온라인 마케팅 계획 등)
- 경영전략 보고서(보고서, 예결산 내역서)
- 해외 마케팅 추진 전략 보고서 등
|
|